본문 바로가기
근골격계 통증/상지통증

<팔꿈치 탈골>알기 쉬운 통증 이야기

by 개미의사 2021. 6. 4.
300x250

이번 시간에는 팔꿈치 탈골(Elbow dislocation)의 원인과 치료법에 대해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팔꿈치 탈골의 원인

Causes

 


 

본래 팔꿈치는 매우 안정적인 관절이기 때문에 탈골이 흔하지는 않습니다. 

 

그래서 팔꿈치 탈골의 원인은 대부분 외상입니다. 특히 팔꿈치를 편 상태로 낙상(Fall)하면 탈골이 쉽게 발생할 수 있습니다.

 

손으로 땅을 짚는 순간 팔꿈치로 힘이 전달되면서 뼈가 소켓에서 벗어나는 겁니다.

 

문제는 팔꿈치 탈골과 함께 주위의 인대, 근육, 신경, 혈관 등이 손상될 수 있다는 점입니다.

 


 

팔꿈치 탈골의 종류

Classification

 


 

 

 

손상 정도에 따라

 

*팔꿈치 탈골은 손상 정도에 따라 분류했을  크게 2종류입니다. 단순 탈골(Simple dislocation) 복합 탈골(Complex dislocation)입니다.

 

단순 탈골 골절 없이 탈골만 일어난 경우입니다.

 

복합 탈골 골절을 포함해서 인대나 기타 주위 구조물이 손상된 경우입니다. 이중에서도 가장 심각한 탈골은 바로 혈관과 신경이 손상된 탈골로 최악의 경우에 팔을 잃을 수도 있습니다.

 

*선천적으로 팔꿈치 주위 인대가 느슨한 사람들이 있습니다. 이런 사람들은 탈골될 위험이 다른 사람보다 높습니다. 또한 선천적으로 척골(Ulna)의 관절 홈(Groove)이 얕은 사람들 역시 쉽게 팔꿈치가 탈골될 수 있습니다.

 

탈골 위치에 따라

 

상완(Humerus)을 기준으로 탈골된 척골(Ulna)과 요골(Radius)의 위치에 따라 7가지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후방(Posterior) 탈골, 외측 후방(Posteriorlateral) 탈골, 내측 후방(Poseteriormedial) 탈골, 외측(Lateral) 탈골, 내측(Medial) 탈골, 전방(Anterior) 탈골, 분리형(Divergent) 탈골 입니다.

 

Source:http://www.fprmed.com/

 

 

이중 가장 흔한 형태는 외측 후방 탈골 입니다.

 


 

팔꿈치 탈골의 증상

Symptoms

 


 

완전 탈골(Complete dislocation)

 

관절면이 상완과 완전히 분리된 완전 탈골은 통증이 매우 심합니다.  경우 비정상적으로 꺾인 팔꿈치 관절을 육안으로 확인할  있습니다.

 

부분 탈골(Partial dislocation)

 

이와 반대로 관절면이 부분적으로 분리된 부분 탈골(아탈골, Subluxation)은 육안으로 구분하기 힘들 수 있습니다. 육안상 멍을 제외하면 관절 부위가 정상적으로 보이기 때문입니다. 관절도 생각보다  움직입니다. 하지만 통증이 있다는 특징이 있습니다.

 

또한 탈골된 뼈가 저절로 교정되기도 하며 어떻게 보면 탈골이라기보다는 관절 불안정 가깝습니다. 그러나 주위 인대가 손상되었다면 자주 재발할 수 있어 이에 대한 치료가 필요합니다.

 


 

팔꿈치 탈골의 치료

Treatment

 


 

 

비수술적 치료(Non surgical treatment)

 

단순 탈골은 응급실에서 폐쇄 정복(Close reduction)할 수 있습니다. 정복술(Reduction maneuver) 전에 진정제(Sedatives) 진통제(Analgesics) 사용해서 환자의 긴장을 풀어줘야 합니다.

 

폐쇄 정복술 방법은 다음과 같습니다.

 

Parvin’s (A) and Meyn & Quigley (B) Reduction Techniques (Egol 2010) Source:coreem.net

 

 

1. 파빈 방법(Parvin’s method)

 

  • 먼저 환자를 침대에 엎드려 눕도록 합니다. 그러고 나서 탈골된 팔을 침대 밑으로 늘어뜨립니다.
  • 그 후 환자의 손목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천천히 수분에 걸쳐 잡아당깁니다.
  • 이 상태에서 팔꿈치의 주두(Olecranon)가 말단으로 미끄러지면 상완을 잡고 천천히 수직으로 올립니다.
  • 팔꿈치 탈골이 제대로 교정되었다면 상완을 올리는 과정에서 환자가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2. 메인과 퀴글리 방법(Meyn & Quigley method)

 

  • 먼저 환자를 침대에 엎드려 눕도록 합니다. 그러고 상완은 침대에 걸치고 아랫 팔은 침대 밑으로 내려가도록 늘어뜨립니다.
  • 그 후 환자의 손목을 잡고 아랫방향으로 천천히 당깁니다.
  • 이 상태에서 반대 손 엄지로 팔꿈치 주두를 지긋이 밀어줍니다.
  • 교정이 완료되면 팔을 구부릴 때 환자가 통증을 거의 느끼지 못합니다.

 

 

위의 방법들로 교정이 완료되었다면  이어서 팔꿈치 움직임을 평가합니다.(교정 직후에는 불안전성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

 

그 후 팔꿈치를 90도 구부린 상태에서 상완 후면부터 손목까지 긴팔 부목(Long arm splint)을 대줍니다.

 

고정은 1-3주 정도 하며 관절 주위의 붓기나 통증이 호전되는지 관찰합니다. 부목을 하는 동안 재활 운동을 통해 관절이 굳는 것을 방지해야 합니다. 3주 이상 운동 없이 팔꿈치를 고정하면 오히려 팔꿈치 가동성이 떨어지고 통증이 증가할 수 있습니다.

 

수술적 치료방법(Surgical treatment)

 

복합 탈골에서는 탈골을 교정하고 손상된 인대와 뼈를 맞추기 위해 수술적 치료를 시행해야 합니다. 만약 신경과 혈관이 손상되었다면 추가적인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수술을 시행하고 나서 폐쇄 정복술과 마찬가지로 긴팔 부목을 댄 후 1-3주간 경과 관찰 및 재활치료를 시행합니다.

 

복합 골절 후 수술을 받은 모습 Source;Researchgate

 


 

팔꿈치 탈골의 예후

Prognosis

 


 

 

일반적으로 재발은 흔치 않습니다. 다만, *삼징후(Terrible triad)가 있는 환자들은 탈골이 재발할 수 있습니다.

 

*삼징후란 1) 후방탈구(Posterior dislocation), 2) 요골두 골절(Radius head fracture), 3) 구상 돌기 골절(Coronid process fracture)을 말합니다.

 

또한 치료 과정에서 관절 구축(Stiffness)이 발생할 수 있어 2주 이상 고정해야 한다면 재활치료를 반드시 병행해야 합니다.

 

만약 고정 기간 동안 까마귀 손 모양(Volkmann contracture, claw hand)이 나타난다면 부종이나 혈종에 의한 척골 신경 압박을 의심해야 합니다. 이 경우 재수술이 필요할 수 있습니다. 까마귀 손 모양에 관한 내용이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1.02.15 - [근골격계 통증/상지통증] - <손가락이 저려요>척골신경포착증후군, 팔꿈치터널증후군, 기욘씨관증후군에 대해 알아봅시다.

 

<손가락이 저려요>척골신경포착증후군, 팔꿈치터널증후군, 기욘씨관증후군에 대해 알아봅시다.

이번 포스팅에서는 척골신경포착증후군(팔꿈치터널증후군, 기욘씨터널증후군 등)에 대하여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척골신경(Ulnar nerve) 먼저 척골신경은 제8번 경추 신경근(C8)과 제1번 흉추 신

medilive.tistory.com

 

팔꿈치 탈골은 성인보다 소아에게 더 잘 발생합니다. 아직 팔꿈치 관절이 불안정하기 때문입니다. 실제 응급실에서도 팔꿈치 탈골로 내원하는 소아 환자가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대부분 단순 탈골이라 폐쇄 정복술로 간단히 교정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간혹 인대, 혈관, 신경 등의 손상이 동반되기도 하기에 이에 대한 정밀 검사가 필요합니다.

 


 

이상으로 팔꿈치 탈골의 원인과 증상, 치료법에 대해 간단히 살펴봤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