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마취 이야기

<근육 이완제 안전할까?>알기 쉬운 마취 이야기

by 개미의사 2021. 5. 17.
300x250

2016년 한 종합 병원에서 간호사가 실수로 수술을 받은 군인에게 '마취용 근육 이완제'를 투여해 군인이 사망한 사고가 있었습니다. 또한 2020년 정형외과 전문의가 '통증 치료용 근육 이완제'와 '마취용 근육 이완제'를 혼동하여 외래 환자에게 투여해 중증의 상해를 입힌 사고도 있었습니다. 이렇게 근육 이완제에 대한 사건 사고는 해마다 몇 건씩 발생하고 있습니다.

 

이번 시간에는 근육 이완제란 무엇이며 '마취용 근육 이완제'와 '통증 치료용 근육 이완제'가 어떻게 다른지 소개해드리도록 하겠습니다.

 


 


 

근육 이완제란?

Muscle relexant

 


 

일반적으로 병원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는 크게 2종류입니다. 앞에서 언급했듯이 ‘마취용(수술용) 근육 이완제’와 ‘통증 치료용 근육 이완제’입니다.

 

전신 마취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Muscle relexants for anesthesia)

 

전신 마취 시에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는 골격근을 완전히 이완시키는 효과가 있습니다. 즉, 사용하면 환자는 스스로 숨을 쉴 수도 움직일 수도 없게 됩니다.

 

이 약을 전신 마취에서 사용하는 이유는 2가지입니다. 첫 번째는 기관내 삽관(Intubation)을 수월하게 하기 위함이고, 두 번째는 수술 중 환자의 움직임을 억제하여 안전하게 수술이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입니다.

 

전신 마취과정에서 근육 이완제를 어떻게 사용하는지 궁금한 분들은 아래의 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1.05.09 - [마취 이야기] - <전신 마취 정말로 마스크만 써도 슥?> 알기 쉬운 마취 이야기

 

<전신 마취 정말로 마스크만 써도 슥?> 알기 쉬운 마취 이야기

영화나 드라마에서 수술을 시작하기 전 마취하는 장면을 보신 적이 있을 겁니다. 환자의 얼굴에 마스크를 갖다 대면 환자가 '스르륵' 잠이 듭니다. 그래서 일반 사람들은 마스크에서 뭔가 마취

medilive.tistory.com

 

 

 

통증 치료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Muscle relexants for pain management)

 

그런데 통증 치료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는 그 작용과 목적이 조금 다릅니다.

 

이 경우에는 근육의 경련 및 강직을 풀어주고 통증을 줄여줄 목적으로 사용합니다. 즉, 완전히 근육을 이완시키는 것이 아니라 통증을 줄여주기 위해 강직 정도를 풀어주는 효과입니다.

 

 

반응형

 


 

근육 이완제의 작용 기전?

Mechanism

 


 

근육 이완제의 작용을 조금만 더 자세히 설명해 보겠습니다.

 

 

전신 마취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Muscle relexants for anesthesia)

신경근 접합부위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OpenStax

 

근육 이완제는 말초의 신경근 접합부위(Neuromuscular junction)에 작용하며 골격근(Skeletal muscle)을 이완시킵니다. 쉽게 말해 ‘말초성 근육 이완제 혹은 신경근 이완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주로 신경근 접합부위(말초 부위)에서 아세틸콜린 수용체에(AchR) 결합하여 근수축 자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약물이 작용하는 동안 환자는 움직임뿐만 아니라 호흡까지 억제되기 때문에 반드시 인공호흡기를 이용하여 환자의 호흡을 보조해 주어야 합니다. 맨 처음 언급했던 간호사와 정형외과 의사 사건은 결국 이런 호흡 보조가 제대로 이루어지지 않아 발생한 것입니다.

 

통증 치료에서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Muscle relexants for pain management)

척수에서 작용하는 근육 이완제 Source:Wikimedia commons, Author:Bill Connelly

 

이때 사용하는 근육 이완제는 척수(Spinal cord)에 작용하여 척수 반사를 억제합니다. 즉, ‘중추성 근육 이완제’라고 할 수 있습니다.

 

이 경우 골격근뿐만 아니라 혈관의 민무늬근(Smooth muscle)까지 이완됩니다. 덕분에 근육 경련이 감소하고 혈액순환이 개선되면서 통증이 감소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말초성 근육 이완제’가 말초의 근수축 자체를 억제하는 작용을 한다면 ‘중추성 근육 이완제’는 척수에서 통증과 근수축 신호를 억제하는 작용을 합니다. 적정량으로 복용하면 골격근을 방해하지 않는 선에서 통증과 근강직만을 줄여줄 수 있습니다. 말초성 근육 이완제에 비하여 훨씬 안전한 셈입니다.

 

물론 과도한 양을 투여하면 신호 억제 정도가 심해지면서 무호흡이나 근무력증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근육 이완제의 종류

Types

 


 

목적에 따라 현재 병원에서 사용하고 있는 근육 이완제들은 다음과 같습니다.

 

 

탈분극성 근육 이완제(Depolarizing muscle relexant)

 

대표적으로 석시닐콜린(Succinylcholine)이 있습니다. 석시닐콜린은 아세틸콜린(Ach)의 경쟁적 길항제(Competitive antagonist)입니다. 즉,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에 아세틸콜린과 경쟁적으로 작용하는 물질입니다.

 

또한 아세틸콜린처럼 행동(유사 아세틸콜린 물질)하기 때문에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결합되면 초기에 일시적인 근수축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곧이어 아세틸콜린의 결합도 막아 추가적인 근수축을 방해하여 근이완 효과를 나타냅니다.

 

하지만 아세틸콜린의 농도가 올라가면 수용체에서 튕겨져 나오게 됩니다. 또한 유사 아세틸콜린 물질이라 아세틸콜린 분해효소(Acetylcholinesterase)에 의해 분해될 수 있습니다.

 

 그래서 근이완 역전제(Reversal agent of muscle relexant)를 따로 투여하지 않아도 근이완이 빠른 속도로 풀리게 됩니다. 이 때문에 코 수술 같이 수술 시간이 짧은 마취에서 주로 사용합니다.

 

비탈분극성 근육 이완제(Non-Depolarizing muscle relexant)

 

아세틸콜린(Ach)의 비경쟁적 길항제(Non-Competitive antagonist)입니다. 아세틸콜린 농도와 상관없이 아세틸콜린 수용체(AchR)에 결합하여 수용체 모양을 변형시킵니다. 이렇게 되면 역시 아세틸콜린이 수용체에 결합할 수 없어 근수축이 억제되어 근육 이완 효과가 나타납니다.

 

비경쟁적으로 결합하기 때문에 근이완을 역전하기 위해서는 충분한 시간이 경과해야 하며(반감기 고려) 반드시 *근이완 역전제(Reversal agent of muscle relexant)를 투여해야 합니다.

 

*근이완 역전제에는 피소스티그민(Physostigmine). 피리도스티그민(Pyridostigmine), 브리디온(Bridion) 등이 있습니다.

 


 

오늘의 포스팅 요약

Summary

 


 

마지막으로 위의 내용들을 간략하게 요약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상으로 근육 이완제에 대한 포스팅을 마치겠습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