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경병증 통증/복합부위통증증후군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치료> 알기 쉬운 통증 이야기

by 개미의사 2021. 4. 30.
300x250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환자마다 공통적으로 나타나는 몇가지 증상이 있습니다. 복합부위증후군의 증상에 대해서 이전에 자세히 다룬바가 있어 궁금하신분들은 아래글을 참고하시면 됩니다.

 

2021.04.28 - [신경병증 통증/복합부위통증증후군] - <칼로 베이고 타는 듯한 통증!>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증상

 

<칼로 베이고 타는 듯한 통증!>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증상

이번 시간에는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증상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무엇인지, 왜 생기는지 궁금하신 분들은 아래의 포스팅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2021.04.27 - [

medilive.tistory.com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진단은 이런 임상증상에 크게 의존하고 있습니다. 때문에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의심되는 상황이라면 조기에 치료를 시작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오늘은 이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치료방법에 대해서 살펴보겠습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어떻게 치료해야할까?

Treatment

 


 

과거에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치료는 재활을 통한 기능회복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었습니다. 발생의 주요 원인을 외상으로 생각했기 때문입니다.

 

물론 그 당시 약물치료, 신경차단술, 정신과적치료를 시행하는 경우도 있었지만 기본적으로 물리치료 및 재활치료가 우선이었습니다.

 

하지만 근래에는 이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이 실제 외상이나 손상 뿐만아니라 염증, 심리적인 요인 등에 의해 발생할 수 있음이 알려지면서 그 치료 방법도 다학제적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의견이 지배적입니다. 

 


 

약물치료

Medication

 


 

항염증 및 면역억제제(Anti-inflammatory therapy / Immunomodulator)

*항염증제로는 보통 스테로이드, 면역억제제로는 인플릭시맙(Infliximab, TNF-alpha 길항제)을 사용합니다.

 

스테로이드 제제(Steroids)

TNF-aIL-1 β 등과 같은 Proinflammatory cytokine의 발현을 억제하고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염증 매개 물질의 생성을 저해하여 소염효과를 나타냅니다.

 

다만 스테로이드 제제는 장기간 사용했을 때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있고 효과가 규명되지 않았기 때문에  단기적으로만 사용하도록 권장하고 있습니다.

 

인플릭시맙(Infliximab)

 

인플릭시맙 Source:대한약학정보원

 

면역억제제로 사용하는 인플릭시맙 역시 TNF-a 길항제로 사이토카인(Cytokine) 레벨을 낮추고 통증을 줄이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진통소염제(Non steroidal antiinflammatory, NSAIDs)는 효과가 매우 떨어지기에 잘 사용하지 않습니다.

 

이온수용체 차단제(Ion channel blockers)

가바펜틴과 카바마제핀

 

가바펜틴(Gabapentin)

가바펜틴 Source:대한약학정보원

 

신경병증 통증에 가장 많이 사용되는 칼슘수용체 차단제(Calcium channel blocker) 입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카바마제핀(Carbamazepin)

 

삼차신경통의 치료 약제인 카바마제핀 역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서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항우울제(Antidepressants)

 

신경병증 통증의 일차 약제로 삼환계 항우울제(TCAs)가 흔히 사용되는데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서도 효과가 있습니다.

 

이외에도 선택적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Selective sertonin reuptake ihibitor, SSRI) 등을 사용합니다.

 

NMDA 수용체 차단제(NMDA receptor antagonist)

 

케타민(Ketamine)

 

케타민(제품명 케토민) Source:대한약학정보원

 

케타민은 NMDA 수용체 차단제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에 효과가 있는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보통 수액을 통해서 마취전 용량(Subanesthesic dosage) 또는 마취용량(Anesthetic dosage)을 주입해주면 통증을 줄여주는 효과가 있습니다. 일부에서는 이를 '수면치료'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이외에도 피부나 근육 증상을 경감시키기 위해 혈관 이완제 혹은 근육 이완제 등을 보조적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중재적 시술

Interventional therapy

 


 

중재적 시술은 바늘이나 기구를 이용하여 신경 주변에 직접 약물을 주입하거나 전기 자극술을 시행하는 방법 입니다.

 

대표적으로 교감신경절 차단술(Sympathetic ganglion block), 신경조절(Neuromodulation), 신경 차단술(Nerve block or neuraxial block) 등이 있습니다.

 

약물 치료에 비해 시술 직후 극적으로 통증이 완화되며 꽤 오래 효과가 지속됩니다. 

 

교감신경절 차단술(Sympathetic ganglion block)

성상신경절 차단술 Source;ResearchGate

 

신경절 차단술이란 바늘을 이용하여 신경절(Ganglion) 주변에 직접 약물을 주입함으로써 진통 및 소염 효과를 노리는 방법입니다.

 

목이나 안면부위의 통증은 성상신경절 차단술(Stellate ganglion block)을 시행하고 몸통이나 하지쪽 통증은 요부 교감신경절 차단술(Lumbar sympathetic ganglion block)을 시행합니다.

 

교감신경절 차단술은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의 통증을 효과적으로 줄일 수 있어 통증 전문 병원에서 많이 시행하고 있는 치료 방법입니다.

 

신경조절(Neuromodulation)

척수신경 자극기(Spinal cord stimulator) Source:ResearchGate

 

여기서 신경 조절이란 전기적인 자극을 통하여 통증 신호 전달과정에 간섭하여 통증을 줄여주는 방법 입니다. 대표적으로 척수신경 자극술(Spinal cord stimulation)가 있습니다.

 

척수신경 자극술은 마치 인공 심박기처럼 몸 안에 지속적으로 척수 신경을 자극 시켜줄 전기 자극기를 넣는 시술입니다. 전기 자극을 이용하여 통증을 조절하는 방법인데 개인마다 효과가 나타나는 주파수나 파형이 달르기 때문에 이를 조율하는 과정이 필요합니다.

 

다른 시술에 비해 조금 더 침습적이고 고가의 시술이라는 단점이 있지만, 한번 삽입해 놓으면 1-2년에 한번씩 배터리만 교환해주면 된고, 통증 조절 효과도 뛰어납니다. 그래서 너무 잦은 신경차단술이 부담되는 환자들에게 권장되는 시술 방법입니다.

 

신경차단술(Nerve block and neuraxial block)

 

몸신경차단술이라고도 하며 신경절이 아니라 말초 부위의 신경 주변에 약물을 주입하는 방법입니다.

 

보통 증상이 발현하고 1년내에 시행하는 것이 효과가 좋고 1년이 지난 후 시행할 경우 효과가 떨어진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주로 신경조절(Neuromodulation)을 시행하기 전에 교감신경절 차단술과 함께 시행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상지에 증상이 있다면 상완신경총 차단술(Brachial plexus nerve block), 그 외에는 경막외 차단술(Epidural block)을 시행하며 이때 마약성 진통제를 주입해주면 진통 효과를 더 연장시킬수 있습니다.

 


 

물리치료

Physical therapy

 


 

Mirror feedback therapy Source:ResearchGate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에서 물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이환된 사지를 일상생활이 가능하도록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것입니다. 

 

과거에는 이 물리치료 요법을 최우선으로 한 기능회복에 중점을 두었으나 현재는 다른 여러 치료 방법과 함께 병행하여 시행하고 있습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 환자들은 통증이 너무 심해 아픈쪽 사지의 사용을 기피하고 보호하기만 하려는 경향이 있습니다. 이렇게 되면 관절이 강직되거나 연부 조직이 섬유화 및 위축되어 통증이 더 악화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적게 사용해도 통증이 심해질 수 있음을 환자에게 교육하고 적절한 강도의 물리치료, 운동치료를 실시해야 합니다.

 

다만 해당 부위에 감각이 없다면 물리치료를 시행하지 않는 것이 좋으며 과도한 치료는 오히려 피로, 통증, 스트레스를 유발하고 부종과 통증을 더 증가시킬 수 있어 주의가 필요합니다.

 

물리치료의 방법에는 Graded motor imagery (GMI), laterality training, imagined hand movement, mirror feedback therapy 이 있고 주로 이미지 트레이닝을 섞은 운동치료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추후 이 내용에 대해 자세히 다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외에도 수치료(Hydrotherapy), 마사지, 전기자극치료 등을 시행하기도 합니다.

 

반응형

 


 

심리치료

Cognitive Behavioral Therapy, CBT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우울증, 불안 장애, 불면증 등 다양한 심리적, 정신적 문제들이 동반될 때가 많습니다. 이런 정신과적 질환이 통증을 유발하는 원인인지 아니면 통증의 결과인지 불분명하지만, 질환의 악화나 유지에는 영향을 준다고 알려져 있습니다.

 

또한 다양한 심리학적 중재술이 만성통증에 효과적이라는 여러 연구들도 있습니다. 따라서 통증을 조절하고 예후를 개선하기 위해서 반드시 심리치료를 함께 진행해야 합니다.

 

심리치료는 다음의 단계에 따라 진행하게 됩니다.

 

먼저 가족들에게 질환에 대해 상세히 교육하기

1. 통증이 만성적으로 유지되는 질환이라는 점

2. 아픈 팔이나 다리를 꾸준히 사용해주어야 통증의 악화를 막을 수 있다는 점

3. 적극적인 자기 관리가 필요하다는 점

 

위와 같은 사항을 환자와 보호자에게 교육하고 이해시키는 것이 중요합니다.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은 만성통증 질환으로 치료 효과가 낮고 완치도 힘든 질환입니다. 환자나 보호자가 질환에 대한 이해가 없으면 의사를 불신하고 이 병원 저 병원 전전할 가능성이 큽니다.

 

그렇게 되면 별다른 소득없이 불필요한 검사들을 하면서 돈은 돈대로 깨지고 통증은 더 심해져 질환이 악화될 뿐입니다. 

 

실제 다른 정신과적 질환은 없는지 확인하고 이에 따른 치료 진행하기

1. 정서나 인지, 행동의 장애가 있는지 평가

2. 지속적인 스트레스 유발 요인들에 대해 확인

3. Relaxation training, cognitive intervention, behavioral intervention, family intervention 등을 시행


4. 우울중 , 공황장애, 외상후 스트레스 장애 등이 있다면 이에 대한 치료 진행

 


 

이상으로 복합부위통증증후군의 치료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합부위통증증후군의 치료는 까다롭습니다. 약물치료, 중재적 시술, 물리치료, 심리치료 등을 동시에 진행하면서 꾸준히 치료할 필요가 있습니다.

 

그 중 가장 중요한 것은 환자가 질환에 대해 이해하는 것 입니다. 복합부위통증중후군을 이해시키고 적극적이고 꾸준한 치료만이 좋은 결과를 가져올 수 있다고 끊임없이 설명해야 합니다. 감사합니다.

728x90
반응형

댓글